“Should” vs “Have to” 의미 차이 쉽게 정리!
두 표현 모두 ‘~해야 한다’는 뜻이지만, 뉘앙스는 다르다!
“Should”와 “Have to”는 모두 어떤 행동을 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질 수 있어요. 하지만 실제 영어 회화에서 이 두 표현은 ‘의무의 강도’와 ‘상황의 성격’에 따라 다르게 사용돼요.
이번 글에서는 “Should”와 “Have to”의 의미 차이와 실제 예문을 통해, 언제 어떤 상황에서 쓰면 되는지 쉽게 정리해볼게요!
1. “Should” = 조언, 추천, 권장
Should는 누군가에게 “그게 좋을 것 같아”라는 느낌으로 부드럽게 조언하거나 제안할 때 써요. 강제성은 없고, 선택권은 상대방에게 있어요.
예문:
- You should take a break. → 너 좀 쉬는 게 좋을 것 같아.
- You should try this pasta. → 이 파스타 한 번 먹어봐!
- I think you should talk to your manager. → 매니저랑 얘기해보는 게 좋을 거야.
💡 뉘앙스는 “꼭 해야 돼!”가 아니라 “그게 낫지 않을까?” 정도!
2. “Have to” = 강한 의무, 규칙, 책임
Have to는 해야만 하는 상황, 법적·사회적 의무, 규칙 등을 말할 때 사용돼요. 이건 정말로 해야 하는 일이고, 안 하면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.
예문:
- I have to go to work at 9. → 9시에 출근해야 해.
- Students have to wear uniforms. → 학생들은 교복을 입어야 해.
- You have to show your ID to enter. → 입장하려면 신분증 보여줘야 해.
💡 Must와 비슷한 느낌이지만, 일상 회화에서는 보통 “have to”를 더 자주 써요.
3. “Should”와 “Have to”의 비교 예문
같은 문장이라도 표현에 따라 의미의 강도가 확 달라져요.
예문 비교:
- You should wear a mask. → 마스크를 쓰는 게 좋을 거야. (권장)
- You have to wear a mask. → 마스크를 꼭 써야 해. (의무)
또 다른 예:
- We should leave now. → 이제 슬슬 나가야겠어. (제안, 조언)
- We have to leave now. → 지금 당장 나가야 해. (필수, 급박함)
4. 일상 대화에서 이렇게 구분하면 돼요
✔️ Should: 말하는 사람이 “그게 낫겠다”라고 추천하거나 권하는 말
✔️ Have to: 안 하면 불이익이 있거나, 규칙상 반드시 해야 하는 말
이 둘을 잘 구분해서 쓰면, 말투가 훨씬 부드럽고 정확해져요.
예를 들어 친구에게 “You have to lose weight”라고 하면 조금 강하게 들릴 수 있어요.
대신 “You should eat healthier”처럼 말하면 훨씬 자연스럽고 배려 있는 느낌이에요.
마무리 요약!
- Should = 부드러운 조언, 권장 사항
- Have to = 반드시 지켜야 할 의무, 규칙
상황에 따라 뉘앙스를 잘 조절해서 쓰면 영어 회화가 훨씬 자연스럽고 똑똑해 보여요. 오늘부터 "Should"와 "Have to"를 제대로 구분해서 써보자!
'영어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행기에서 쓸 수 있는 기내 영어 회화! 꼭 알아야 할 상황별 표현 정리 (0) | 2025.04.19 |
---|---|
미국 사람들이 자주 쓰는 칭찬 표현 10가지! 자연스럽게 칭찬하는 진짜 영어 (0) | 2025.04.18 |
헷갈리는 영어 표현 구분하기: “I’m good” vs “I’m well” (1) | 2025.04.17 |
상황별 영어 인사 표현 총정리! 친구, 비즈니스, 낯선 사람에게 자연스럽게 인사하는 법 (0) | 2025.04.17 |
실제 미국 스타벅스에서 자주 쓰는 영어 주문 표현 모음|유학생 & 여행자 필수 (0) | 2025.04.17 |